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연구동향

행복여행 학술자료

Home연구동향행복여행 학술자료

Deci & Ryan(2008) Hedonia, eudaimonia, and well-being: An introduction

한양대관광랩 2022-07-04 조회수 166

 

-연구목적
=>웰빙에 대한 연구는 두 가지 전통에 매몰될 수 있는 것으로 생각할 수 있음. 하나는 쾌락주의적 관점으로써 일반적으로 긍정적인 효과의 존재와 부정적인 효과의 부재로 정의함. 또 다른 요소인 에우다이모닉 전통에서는 삶을 충실하고 깊이 만족하는 방식으로 사는 것에 초점을 맞추고 있음. 웰빙에 대한 최근의 많은 연구가 쾌락주의적 전통과 더 밀접하게 연관되어 있다는 것을 인식하며, 이번 논문에서 제시된 에우다이모니아에 대한 개념이 웰빙에 대한 우리의 이해에 어떻게 중요한 관점을 추가하는지를 명확히 하면서 에우다이모니아 전통의 토론과 연구 리뷰를 제시함.

 

-연구방법
=>본 연구는 Hedoina, Eudaimonia와 웰빙, 심리학적 요인에 따른 주제 및 내용 설명으로 이뤄져 있음.
1)Hedonia와 주관적 웰빙: 최적의 심리 경험과 기능을 일컫는 웰빙은 지난 4반세기 동안 심리학에서 활발하게 연구되어 왔음. 이는 주관적 웰빙(SWB) 탐구에 초점을 맞춘 Diener(1984)와 같은 심리학자들의 연구 성과임. 많은 이들에게 웰빙은 주관적인 것으로 간주되나 사실 사람들이 일반적으로 그들이 웰빙감을 경험하는 정도를 스스로 평가하는 것으로 설명할 수 있음. 주관적 웰빙(SWB)는 높은 수준의 긍정적 효과, 낮은 수준의 부정적 효과, 그리고 자신의 삶에 대한 높은 만족도를 경험하는 것을 의미함.

2)Eudaimonia와 충분한 기능: 웰빙에 대한 두 가지 접근 방식인 쾌락주의와 Eudaimoinsm은 인간 본성에 대한 다른 관점에 기반을 두고 있음. 쾌락적 접근법은 ToobyCosmides(1992)가 언급한 표준 사회과학 모델을 사용하며, 이는 인간의 유기체가 처음에는 상대적으로 유연함을 간주하기에 사회 문화적 가르침에 따라 그 의미를 얻음을 설명함. 대조적으로, eudaimonic 접근법은 콘텐츠를 인간의 본성에 귀속시키고 그 콘텐츠를 밝혀내며 컨텐츠를 인간의 본성에 용이하게 함과 동시에 감소시키는 조건을 이해하는 일을 함.

3)심리적인 웰빙과 Eudaimonia: Waterman, Schwertz, Conti의 두 번째 논문은 웰빙 개념으로서의 Eudamonia에 관한 추가적인 논의로 시작함. 세 명의 학자들은 개인 표현 활동 설문지(PEAQ)를 사용하여 웰빙의 eudaimonic-쾌락적 측면, 그중에서 본질적 동기 개념과 관련된 측면을 평가하는 조사방법을 제시함. 참가자들은 개인적으로 중요한 몇 가지 활동을 나열한 다음, Eudaimonia를 평가하기 위한 6개 항목과 쾌락적 웰빙을 평가하기 위한 6개 항목에 응답함. eudaimonia와 관련된 항목들은 개인적 표현으로 표시됨.

4)심리적 웰빙과 Eudaimonia?: RyffSingerEudamonia 웰빙을 평가하는 방법에 대한 접근법의 차이는 다음과 같음. 첫째, Ryff와 동료들은 심리적 웰빙을 전세계적·개인의 차이 변수로 평가하는 반면, Waterman과 동료들은 특정 활동과 관련하여 eudaimonia를 더 좁게 평가함.. 둘째, Ryff 척도는 eudaimonic living을 나타내는 기준(: 환경 지배, 긍정적인 관계, 자기 수용 등)을 제시하는 반면 Waterman 척도는 개념의 내용을 자유롭게 하여 어떤 활동이 사람의 참된 자아에 대해 살아있고 어떻게 표현하는지를 단순히 평가한다는 내용을 갖고 있음. 이 시점에서 연구자들은 이 두 구성된 정의와 각각의 상관 관계 사이의 관계를 경험적으로 검토해야 함.

5)행복, 웰빙과 물질적 소유: 웰빙에 관한 두 가지 전통에 관한 내용은 다음과 같음. 심리학에서 행복의 개념은 쾌락적 관점과 일치하지만, Waterman과 동료들은 두 종류의 행복의 명확한 구분을 만들면서 그 개념을 두 가지 관점을 포괄하기 위해 사용함. 이러한 내용은 주로 의미론(특정 단어 사용 방법)의 관점임. 두 번째 주목할 점은 Waterman과 동료들이 사용하는 쾌락적 웰빙의 개념적 정의에 관한 내용임. Krout(1979)의 연구와 함께 Waterman과 동료들은 자신이 원하는 물질적 대상을 취득하거나 원하는 행동의 기회를 획득하는 방향으로 긍정적인 웰빙을 체험한다는 점을 설명함.

6)삶의 이야기 속 웰빙 테마: Bauer, McAdams, Pals의 논문에 따르면 쾌락, 의미심장함, 그리고 자신에 대한 개인의 이해에 풍부한 심리사회적 통합을 구성하기 위해 Eudaimonia 또는 좋은 삶을 이해한다는 점임. Eudamonia의 지표로서 심리적 안녕을 나타내는 경향이 있다고 보고한다. 또한, 사람들의 내러티브가 통합적 성장(, 새로운 관점과 오래된 관점의 더 깊은 이해와 통합을 수반하는 성장)과 관련될 때, 사람들은 높은 수준의 자아 계발(Lovinger, 1976)과 심리적 편안함을 나타내는 경향이 있으며, 특히 삶의 목적의 차원과 개인적 성장에 있어서도 연관됨을 반영함.

7)자율성과 교육: Eudamonia와 밀접한 개념은 자율성임. RyanDeci(2000)가 정의한 바와 같이 자율성은 의지와 선택 경험에서 자신의 행동을 지지하는 것을 의미함. RyanDeci는 자율성이 자기결정 이론(SDT)의 기본-보편적인 심리적 요구 중 하나라고 제안함.

8)자율성과 기본적 욕구: Devine, Cam geld, Gough의 논문은 자율성이 인간의 기본적 필요임을 시사함. 자율성에 대한 이러한 관점은 사회 경제적 수준에서 더 초점을 맞췄으나 SDT에서의 자율성에 대한 개념은 심리적인 수준에서 결정함. 따라서 Devine과 동료들 연구에서 개념에 대한 더 넓은 관점을 부분적으로 설명함에도 불구하고, Devine과 동료들의 논문은 자율성이 정말로 보편적인 심리적 요구임을 설명함.

9)SDT(자기결정 이론)Eudaimonia: Ryan과 동료들은 이 특별호의 기사에서 자기결정 이론을 Eudamonia 모델을 제시하기 위한 근거로 사용함. 저자들은 Eudamonia가 그 자체로 웰빙 결과보다는 어떻게 삶을 살아가는지에 관한 것임을 설명함. 물론 Ryan과 동료들은 잘 사는 것을 의미를 행복과 즐거움의 감정과 의미와 성취감을 모두 갖는 것임을 설명하나. 주요 내용은 eudaimonic life를 나타내고 웰빙을 산출하는 과정에 있다는 점을 설명함.

 

-연구결과

=>본 논문에서는 eudaimonia의 개념이 웰빙과 인간의 번영함을 이해하는 데 중요한 개념임을 나타내는 공신력 있는 사례를 제시함. 에우다이모니아(eudaimonia)의 관점에서의 개념화된 웰빙(Well-Being)의 차이점을 쾌락주의적 관점에서 볼 때 주관적인 웰빙의 관점을 통해 설명함.


보조연구원: 곽은태(관광학부 4학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