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연구동향

행복여행 학술자료

Home연구동향행복여행 학술자료

문화관광연구원 (2014) 문화콘텐츠가 국민행복에 미치는 영향

한양대관광랩 2022-07-01 조회수 186

연구배경

문화콘텐츠의 경우 경제적 측면 위주로 평가되어왔기 때문에 창의력을 뒷받침하는 사회적 자본이나 국민행복에 미치는 대중문화로서의 역할에 대한 기반 연구가 부재하여 미래가치 측정을 위한 행복연구가 필요함. 따라서 본 연구는 전통 문화, 예술과 같은 문화적 기반을 문화콘텐츠로 연결하여 국내 소비자의 대중문화 향유가 국민행복에 어떻게 기여하는지 도출해내고자 함. 또한 국내 사례와 해외 사례를 비교하여 문화콘텐츠의 현재 위상을 점검하는 동시에 경제적 가치에 국한하지 않고 다양한 시각으로 문화콘텐츠의 가치를 발구하는데에 연구 목적이 있음. 콘텐츠산업의 활성화를 통해 국민행복을 증진시키고자 하는 문화부 정책의 목적의식을 공유하여 국내 문화콘텐츠 이용의 개선방향을 도출함으로써 대한민국 국민의 행복 증진에 일조하기 위함임.

 

연구방법

1. 연구 범위 및 방법

1) 문화콘텐츠 범위

연구대상이 될 문화콘텐츠의 범위는 대한민국 국민이 가장 많이 이용하는 문화콘텐츠인 영화, 방송, 게임, 음악을 문화콘텐츠 범위로 규정함.

2) 연구 방법

연구내용과 구성을 기반으로 최적의 결과물을 도출할 수 있도록 문헌연구, 사례조사대국민인식조사, 자문회의, 정책토론회 등을 활용


[분석의 틀(Framework)]


 

[문헌 분석]

1. 흥미로운 학습과 문화콘텐츠

2. 건강한 삶과 문화콘텐츠

3. 사회적 관계와 문화콘텐츠

4. 다양성 포용과 문화콘텐츠

5. 집단의 정체성과 문화콘텐츠


[설문조사 분석]


연구결과

[콘텐츠 산업 정책 제언]

1. 양날의 칼을 가진 문화콘텐츠의 영향력

이 보고서에는 문화콘텐츠가 국민행복에 미치는 긍정적인 영향들을 정성적, 정량적으로 분석하였음. 그러나 문화콘텐츠의 소비가 국민의 행복을 저해시키는 경우도 상당 부분 존재한다는 것은 간과해서는 안 되는 측면임. 따라서 콘텐츠산업 정책을 추진함에 있어서 콘텐츠산업의 긍정적 측면과 부정적 측면을 동시에 고려하는 새로운 정책 비전을 수립할 필요가 있음.

2. 정책적 제언

1) 콘텐츠 산업 정책에서 콘텐츠 시장 정책으로 국민행복을 위한 콘텐츠 산업 정책은 정부가 산업 생태계에 개입하여 소액다건형 공급자 지원을 하는 정책보다 건강한 수요자의 향유 지원과 소비시장을 성장/성숙시키는 시장 정책으로 정책기조를 전환하는 것이 필요함.

2) 콘텐츠 산업의 성과를 측정하는 보완적 지표 개발

지금까지 콘텐츠 산업의 성과는 매출액, 고용, 성장률 등 경제적 가치를 중심으로 측정되어 왔으나 문화콘텐츠가 국민의 주관적 행복에 많은 영향을 미치고 있는 것이 확인되었으므로 경제적 성과를 보완하는 새로운 성과 기준이 필요함. 또한 국민들이 콘텐츠를 향유하면서 느끼는 행복 수준은 지극히 주관적이고 상대적이므로 이를 정책목표로 설정하기 위해서는 객관적으로 지수화하는 작업이 필요함.


보조연구원: 이화영(관광학부 4학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