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연구동향

행복여행 학술자료

Home연구동향행복여행 학술자료

통계청 (2021) 국민 삶의 질

한양대관광랩 2022-08-02 조회수 159


 

연구배경

국민 삶의 질 지표는 국내적 상황과 국제적인 웰빙 측정 동향을 고려하여 구축되었음. 먼저 한국사회는 산업화와 민주화 달성에도 불구하고 사람들의 삶에 대한 만족도나 행복수준은 그리 높지 않으며, 다양한 사회문제에 직면해 있음. 출산율과 급속한 고령화, 높은 자살률 등 사회전반의 활력이 약화되고 있으며, 이념적 갈등, 상대적 빈곤, 노사갈등 등 다양한 갈등이 첨예하게 대립하고 있음. 이에 기존 경제 성장 중심의 정책에서 삶의 질 제고로의 정책적 관심 전환이 필요한 상황임. 따라서 삶의 질을 구성하는 세부 생활영역별 현황을 주요 지표로 측정하고, 이를 통해 국민 삶의 질의 현주소를 객관적으로 제시하며, 국민 삶의 질개선을 위한 정책수립·시행에 필요한 기초자료를 제공하는데 궁극적인 목적이 있음. 우리사회의 장점과 취약점을 파악하고 삶의 질 증진을 위한 영역별 해결과제 및 개선방안 마련을 위한 기초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임.

 

연구내용

[삶의 질]

삶의 질은 삶을 가치있게 만드는 모든 요소를 포괄하는 개념으로 객관적인 생활조건과 이에 대한 국민들의 주관적 인지 및 평가로 구성됨. 구체적으로 보면 삶의 질개념은 학자마다 다양하게 정의되는 경향이 있으며, 그 측정내용에 따라 삶의 질, 복지, 웰빙, 행복, 주관적 웰빙, 주관적 만족감 등 다양한 유사개념을 혼용해서 사용되는 경향을 보임. 다만 삶의질, 복지, 웰빙 개념은 객관적 조건을 강조하는 반면, 주관적 웰빙, 만족도, 행복 개념은 상대적으로 주관적인 평가에 보다 중점을 두는 경향이 있음. 삶의 질은 어떤 상태가 바람직하다는 사회적 가치나 규범을 반영하고 있어 시공간을 초월한 절대적 개념이 아니라 한 사회의 경제 및 사회발전 수준과 구성원의 가치 및 규범에 의해 변화되는 상대적인 개념임. 또한 사회구성원 개인의 삶의 질만을 의미하는 것이 아니라 전체 사회의 질societal quality’을 포함하는 포괄적인 개념임.


[프레임워크]

삶의 질을 측정하는 11개 영역이 개인을 중심으로 하는 동심원 형태로 구성됨. 개인의 삶의 만족도를 보여주는 주관적 웰빙을 중심으로 동심원 안에는 개인’, 중간에는 사회적 관계’, 그리고 맨 바깥쪽에는 환경적 조건이 위치하고 있음. 각각의 차원별 목표와 세부내용을 보면 다음과 같음.


 

[지표체계]

국민 삶의 질 지표체계는 202012월 말 기준 11개 영역의 71개 지표로 구성됨. 각 영역별 객관적 지표와 주관적 지표로 구성되어 있으며 객관적 지표는 42(59.2%), 주관적 지표는 29(40.8%). 각 지표는 지표값의 증가가 삶의 질 개선에 기여하는지, 악화에 기여하는지에 따라 긍정방향 지표(+)와 부정방향 지표(-)로 구분됨.

* 가족관계 만족도

202058.8%, 2018년보다 2.2%p 증가

원만한 가족관계는 삶의 질을 결정하는 주요 요인의 하나임. 가족관계에서 느끼는 만족감은 주관적 안녕감에 큰 영향을 미치면서 행복한 삶의 조건으로 작용함. 개인화 경향이 뚜렷해지고 가족형태가 다양해지는 현실에서도 사람들은 귀속감과 유대, 친밀감의 원천으로 가족을 생각하고 행복한 가족생활을 소망함.

 

* 여가시간

20204.2시간, 2019년보다 0.2시간 증가

여가시간이란 일, 가사, 수업 등 의무적인 활동을 제외하고 자유롭게 사용할 수 있는 시간으로 여가시간은 일과 삶의 균형이라는 측면에서 삶의 질 수준을 가늠하는 기초지표이자 여가활동의 기반을 나타내는 지표임. 적정한 수준의 여가시간은 일 중심의 사회로 인한 문제점들을 개선하며 풍요로운 여가활동을 가지기 위한 전제조건으로서의 의미를 가짐. 여가생활을 위한 가장 기본적인 요건으로 여가시간을 파악함으로써 국민의 여가생활에 관한 기초 정보를 제시할 수 있음.

 

*여가생활 만족도

202127.0%, 2019년보다 1.8%p 감소

여가생활 만족도는 여가활용에 대한 개인의 주관적 만족수준을 보여줌. 많은 연구들이 여가만족도와 삶의만족도 사이에 높은 상관관계가 있음을 보여 주었으며, 이는 여가생활이 삶의 질의 중요한 구성요소 중 하나이기 때문임. 여가생활은 건강상태나 경제적 여건이 뒷받침되어야 가능하기 때문에 여가생활에 대한 만족도는 삶의 다양한 영역을 압축적으로 보여주는 종합 지표로서의 의미도 가짐.

 

*부정정서

20203.7, 전년대비 0.1점 감소


보조연구원: 이화영(관광학부 4학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