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연구동향

행복여행 학술자료

Home연구동향행복여행 학술자료

Farag et al (2019) Assessment of user happiness in campus open spaces

한양대관광랩 2022-07-29 조회수 200


 


연구배경
=>철학자 아리스토텔레스는 "행복은 삶의 의미이자 목적"으로 설명함. 모든 인간은 행복을 열망하며 2011년 유엔총회에서는 모든 인간은 행복을 열망하며 이러한 행복 추구를 인간의 근본적인 목표로 인정한 결의안을 통과시킴(UNESCO, 2016). 유엔결의안 통과를 통해 행복은 이제 21세기에 가장 많이 연구된 주제 중 하나로 전 세계 학자들의 관심을 끌고 있음(Vega, 2016).

=>많은 학자들은 그중에서도 대학 캠퍼스에 대한 사용자 경험의 주제, 그리고 열린 공간의 설정과 설계가 행복, 만족, 웰빙과 같은 긍정적인 감정의 자과 더불어 전반적인 교육 경험의 증진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우려하고 있는 상황임.

=>고등교육정책연구원(HEPI)Advance HE2019년에 14000명 이상의 학생을 대상으로 실시한 설문조사에 따르면, 17%의 학생들만이 자신이 행복하다고 믿으며 자신의 삶이 가치 있다고 생각하는 것으로 나타났음. 이것은 심각한 문제를 강조하는데 20세에서 24세 사이의 젊은이들 사이에서 대학생들은 동시대 학생들에 비해 현저히 낮은 행복 수준을 보임을 알 수 있기 때문임.

=>이 연구는 대학 캠퍼스에서 학생들의 행복도를 평가하는 것을 목표로 함. 인지 지도는 결과의 유효성을 입증하기 위해 사용되는 데이터 수집 및 설문지를 위해 사용함. 인지 지도를 행복 연구를 위한 평가 도구로 사용하는 것은 도시 사회학 연구에 기여하고자 함.


연구방법
=>문헌연구를 기반으로 본 연구를 진행하였음.
-가장먼저 행복에 대한 정의를 진행함: 행복에 대한 관심은 최근의 현상이 아니며 로마 시민들은 행복을 상징하기 위해 신을 채택하였음. 아리스토텔레스는 즐거움을 느끼는 것, 좋은 수행과 성공, 그리고 영적인 삶의 세 가지 영역을 근거로 하여 행복을 정의하였음.

-행복, 교육 그리고 공개된 장소: 캠퍼스의 실외 공간과 물리적 환경은 학생들의 웰빙 향상, 학생들의 인지 능력 및 정신 건강 향상, 주의력 회복 향상에 영향을 미침. 이러한 환경은 학생들에게 즐거운 교육 경험의 가능성을 제공하는 데 매우 영향력 있는 요소인 것으로 밝혀짐.

->열린 공간의 물리적 환경은 또한 학생들 사이의 사회적 참여를 장려하거나 없앨 수 있음. 높은 성취감을 주는 사회적 관계, 긍정적이고 행복한 감정, 고립감을 막는 것 사이에는 강한 연관성이 있음을 설명함.

=>데이터 수집: 가장먼저 인지 지도(Cognitive Map)을 설계함.
-학생 명단은 다른 부분들을 보여주는 대학 캠퍼스의 인지 지도를 그리도록 요구됨. 학생들은 그림을 그리기 위한 어떤 다른 지시나 방향도 받지 않았고 단지 캠퍼스 지도를 그릴 수 있는 A4 크기의 종이와 안에 그릴 수 있는 액자만 제공받음.

 


=>설문지 구성: 학생들에게 25개의 문항이 두 부분으로 나뉘어진 설문지가 주어졌는데, 첫 부분에는 20개의 닫힌 문항이 포함되어 있어 선호되는 문항과 선호되지 않는 문항, 그리고 캠퍼스의 열린 공간에서 학생들이 경험한 긍정적이고 부정적인 감정에 대해 직접적으로 질문하였음.

=>데이터 분석
-학생들의 인지 지도 도면은 어떤 열린 공간이 가장 기억에 남고 표현되는지를 결정하기 위한 방향으로 분석되었음.

-연구진은 콘텐츠 분석법을 활용해 학생들의 인지 지도와 개방형 설문지를 통해 시각 자료와 언어 자료를 각각 분석, 분류, 정리해 패턴을 찾아었음.

-시각적 재료의 분석에는 모양, 색상, 질감, 비율, 장식 요소의 그룹 또는 기타 매개변수의 검토가 포함되었음.

-기호와 도면을 검증하고 설명하기 위해 안전 점검이 수행되었던 반면, 언어 자료의 분석에는 반복된 단어와 구를 검토하여 그 너머에 있는 추가적인 의미를 조사하는 것이 포함되었음. 설문지의 객관적 판단은 추가 검증을 위해 사용자의 인지 지도의 주관적 번역과 비교하였음.


연구결과

=>연구결과 산출된 유의미한 결과는 다음과 같이 다이어그램으로 표현함.

=>학생들은 설문지에 답하고 행복과 불행의 감정을 유발하는 열린 공간을 직접 선택하였음. 놀랍게도, 가장 많이 선정된 공간은 (BD)로 학생들의 인지 지도에서 가장 기억에 남는 공간이었는데 이는 학생들이 그들의 감정을 가장 많이 불러일으키는 공간을 기억하고 인지한다는 것을 의미함을 알 수 있었음.

=>본 연구에선 대학 캠퍼스에서 학생들의 행복 수준을 평가하고 열린 공간의 디자인과 그들의 설정이 학생들의 행복감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는 것을 목표로 하였음. 그 결과 공간 디자인과 설정이 학생들의 행복감에 영향을 미친다는 것을 증명하였음.

=>보다 행복하고 효율적인 교육환경으로 전환하기 위해서는 캠퍼스의 개방된 공간을 개발하는 것이 효과적임을 설명하며, 그중에서도 녹지조성의 중요함을 설명함.


​연구보조원: 곽은태(관광학부 4학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