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연구동향

행복여행 학술자료

Home연구동향행복여행 학술자료

Veli & Duygu (2019) A Student-Oriented Study

한양대관광랩 2022-07-29 조회수 188

연구배경
=>행복(Happiness)은 개인의 모든 측면, 즉 심리, 생리, 인지, 사회 등을 포함한 개념이다. 행복은 삶에 대한 인지적, 지각적 평가로 정의된다. 행복의 개념 내엔 기쁨, 자부심, 신뢰, 흥분 등과 같은 긍정적인 감정을 자주 가지며 분노, 두려움, 걱정, 증오 등과 같은 부정적인 감정을 거의 갖지 않는다. 학자들은 삶의 다양한 분야(가족 생활, 직장 생활, 직업 등)에서 높은 만족도를 갖는 것이 행복을 지칭한다고 설명하였다(Diener, 1984; Diener et al., 1985).

=> Veenhoven(1996)은 삶의 만족도를 삶의 질 전체의 긍정적인 개선 정도로 정의하며 삶의 변화(사회의 질, 그 안에서 한 사람의 위치)를 제안한다. 사회적 배경과 상황 속 경험(쾌락적 경험, 사랑하거나 사랑하지 않는 기능, 좋아하는 능력 등), 내적 진보(결과를 계산하거나 묘사하는 것, 근본적인 감정, 생활 환경의 차이 및 전체 개선의 차이) .삶의 만족과 만족의 범위 사이의 관계를 평가한다.

=>교사들은 학생들의 정서적, 생활적 측면과 같은 모든 부분에 영향을 미치고 있으며, 정신적으로 건강해야 함을 강조하고 있다. 이를 통해 본 연구에서는 대학생들의 삶의 만족도와 행복 수준 사이의 관계를 조사하고자 한다.


연구방법
=>이번 연구에서는 샘플 그룹, 데이터 수집도구, 개인정보 양식, 삶의 만족도 지표, Oxford Happiness Scale을 활용한 연구를 진행하였으며, 자세한 설명은 아래와 같다.
샘플 그룹: 표본군은 Necmetin Erbakan Univ.의 체육교사와 Pamukkale Univ.의 스포츠과학부 학생들을 대상으로 진행하였음. 비확률적 표본추출 방식으로 선정됐으며, 이 중 남학생은 394, 여학생은 407명이고 평균 연령은 23.58±2.98세다.
데이터 수집 도구: 본 연구에서는 '개인정보 양식', '생활만족도 척도', 'Oxford Happiness Scale(Short Version)' 등을 데이터 수집 도구로 활용하였음.
개인정보 양식: 참가자들로부터 성별, 부서, 등급, 부서 만족도, 스포츠 참여 등 정보를 취득하여 정리하였음.
삶의 만족도 지표: 참가자의 삶의 만족도를 결정하기 위해 Diener 외 연구진(1985)이 개발하였음. "생활 만족도 척도"Durak 외 연구진(2010)이 합법적이고 신뢰할 수 있는 것으로 만들었음 5개 조항과 1차원의 5Likert 척도(1 = 절대 동의, 5 = 절대 반대)로 구성되어 있다.
Oxford Happiness Scale-Short Version: 참가자의 행복 수준을 추정하기 위해 Hills와 ㅁArgyle(2002)이 개발하고 Doğan Akıncı Çötok(2010)이 터키어로 정리한 ’Oxford Happiness Scale-Short Version’이 사용됨.


연구결과
=>14 가지의 연구가 진행되었으며, 대표적인 결과를 나온 부분 두 가지에 대해 소개하고자 함.


참가자들의 성별에 따른 Oxford Happiness Scale의 결과

-참가자의 성별과 관련된 그들의 행복 수준에 관한 테스트 결과참가자의 성별과 관련하여 참가자의 행복 수준에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분석함. 남성 참가자는 여성 참가자에 비해 점수가 높은 것을 알 수 있었음.

참가자들의 정기적인 스포츠 활동 참여에 따른 연구결과

분석 결과, 참가자의 정기적인 스포츠 참여와 관련하여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삶의 만족도 차이는 없는 것으로 나타남. 정기적으로 스포츠에 종사하는 사람들은 그렇지 않은 사람들에 비해 더 높은 점수를 받는 것을 알 수 있음.

=>대학생들의 삶의 만족도와 행복수준의 관계를 다른 요인별로 조사·판단하는 것을 목표로 한 이번 연구결과와 참여자들의 삶의 만족도와 행복수준이 긍정적인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관찰됨.


=>수명 만족도 척도의 범위 내에서 연구 결과를 평가한 결과, 연령 및 스포츠 매개변수의 정기적인 참여와 관련하여 상당한 차이가 관찰되었음.


=>결과적으로, 학생들의 삶의 만족도와 행복 수준은 다른 매개 변수에 따라 달라지는 것으로 결정되었으며 삶의 만족도가 높을수록 행복도가 높다는 결론이 나왔음.


보조연구원: 곽은태(관광학부 4학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