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연구동향

행복여행 학술자료

Home연구동향행복여행 학술자료

Pyke et al (2016) Exploring well-being as a tourism product resource

한양대관광랩 2022-07-04 조회수 197

-연구목적

=>세계보건기구(WHO)의 정의에 따르면 건강은 단순히 질병이 없는 상태가 아닌 웰빙 상태로 설명됨. 이러한 세계보건기구의 설명은 전문가들로 하여금 웰빙에 대한 정의를 내리기 어렵게 하는 결과를 낳게 됨.


=>웰빙(Well-Being)의 개념은 철학, 공중보건, 경제, 정책, 학계, 연구, 이론 등에서 활용되었으나, 관광산업과의 연계성에 대해서는 연결고리를 설명하지 못하였음.

=>시간이 지나, 사람들은 관광활동을 하나의 여가활동으로 인식하였고, 인간의 웰빙, 지속가한 성장, 사회 및 경제 참여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을 보고, 웰빙과의 관계에 대한 연구를 시작했으며, 이론을 정립해 나가기 시작했음.

=>본 연구에서는 공중보건과 관광활동을 통해 계층 간의 불평등을 감소시키고 지속가능성을 촉진하는 목표를 수립하고자 함. 최종적으로는 비즈니스 관점에서의 새로운 웰빙의 개념 제시 및 관광과 보건활동의 관계를 평가하기 위함임.

-연구방법
=>본 연구에서의 데이터 수집 방법은 다음과 같음.
-영국에서 진행되었으며, 두 개의 포커스 그룹으로 분류하여 관광산업 관계자 그룹과 공중보건 전문가가 포함된 그룹으로 분류하였음.
-각각의 참가자들 1시간이라는 시간 동안 각각의 주제에 대해 토론을 진행함.


 

-연구결과
: 연구결과 아래의 도표는 관광산업관계자들이 웰빙의 개념 및관광 상품 자원으로 사용할 수 있는 가능성에 대해 어떻게 느끼는지 나타내었음. 이해관계자에 따른 많은 장애가 확인되었지만, 웰빙 제품 제공의 부가적인 이점을 인식함으로써 이 개념은 여전히 적극적으로 받아들여짐.


위의 그림 2)를 통해 토론 결과 관련 집단이 갖고 있는 인식에 대해 확인할 수 있었음.
-장벽: 관계자들의 웰빙에 대한 인식, 브랜드, 네트워크, 재무상태, 시장동향, 인프라, 건강 및 웰빙개발 지원자 등
-가능성: 관광산업의 성장가치, 소비자 환경, 마케팅, 지방정부의 고유 문화 등


* 시사점

=>가장 먼저 관광전략 및 정책 수립을 통한 공중 보건 목표 달성을 설명할 수 있음. 하지만, 앞으로 이와 관련된 추가적인 연구가 필요하다는 내용 또한 설명함.


=>총 세 가지 방향으로의 가능성에 대해 설명하고자 함.

- 첫째, 기업의 문화, 철학, 마케팅 및 브랜딩을 통한 공중 보건 원칙을 운영 혹은 전략에 구현할 수 있음.

- 둘째, 정치인들은 지역의 정책 및 계획, 커뮤니케이션 및 인프라 지원을 통해 웰빙 이니셔티브를 가진 기업들을 지원할 수 있음.

- 셋째, 본 연구를 통해 학제 간 접근을 통한 관광지에서의 더 건강한 인구 창출 가능성을 설명함.

- 마지막으로 이번 연구 결과를 통해 지속가능한 관광 커뮤니티 구축을 위한 공중 보건 분야와 관광산업 간의 시너지 효과에 대해 설명하였으며, 관광상품 개발을 위한 우수한 자료로 활용될 것으로 전망함.


보조연구원: 곽은태(관광학부 4학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