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연구동향

행복여행 학술자료

Home연구동향행복여행 학술자료

Woo et al (2016) A measure of quality of life in elderly tourists

한양대관광랩 2022-08-29 조회수 186


연구목적 

-세계 각국의 인구고령화 속도가 빨라짐에 따라 증가하는 실질적인 인구 수 뿐만 아니라 그들이 시장에서 보여주는 구매력도 중요한 시장 세분화 요소로 여겨지고 있음.
-하지만 노인들의 여행 행태와 이들이 어떻게 그들의 웰빙과 삶의 질(QoL)에 기여하는지에 대한 연구는 거의 전무한 상황이기 때문에 이번 연구 질문은 관광 분야에서의 실증적 조사에 초점을 두고자 하였음.
-요약하여 설명하자면, 이번 연구의 주된 목적은 노인의 삶의 질(QoL)에 대한 관광 행동(동기 부여 및 제약)의 구조에 초점을 맞춰 연구와 함께 설명하는 것임.

 

연구방법

-본 연구 진행을 위한 가장 기본적인 구조는 과거의 문헌 자료를 기반으로 진행하였음: 고령 관광객의 밀착 동기를 측정하기 위해, 이전의 문헌 연구에 근거함21개의 밀착 동기 항목을 개발함. 이들 21개 항목은 지금까지의 연구를 바탕으로 참신성, 오락성, 릴렉스, 사회화, 내적 동기 등 5가지 주요 동기로 분류함과 동시에 연구를 위한 지표로 활용하였음.

-전반적인 삶의 만족도를 측정하기 위해 SWLS(Satisfaction with Life Scale)에서 6개 항목을 채택했하였으며, 여섯 가지 행복은 아래와 같음.
: 전반적으로, 그 여행에서 돌아오고 나서 행복했다.
: 여행 직후에 인생에 대한 만족도가 높아졌다.
: 지금까지 인생에서 원하는 중요한 것을 얻었다.
: 여행 직후의 내 인생에 대해 전반적으로 기분이 좋았다.
: 삶의 질을 높인 그의 여행이 기억에 남는다.
: 여행 후 의미 있고 충실한 삶을 살았다고 느꼈다.

=>위의 여섯 가지 항목에 근거한 평가를 진행하기 위한 문항으로 '매우 불만족'에서 '매우 만족'까지의 5점짜리 리커트형 척도를 활용하였음.

-본 연구의 진행을 위해 20132월부터 4월까지 3개월 동안 연구 보조원들에 의해 배포되었음. 이번 연구의 대상 표본은 한국 제주도에 사는 65세 이상의 사람들을 대상으로 하였으며, 300명의 한국인들이 복지관, 노인 교육 센터, 노인 협회에서 잘 훈련된 보조원들과 접촉하였음.

-290명의 노인들이 설문조사에 참여했으며, 참여한 인원에게는 인센티브를 제공하였음. 참여한 응답지중 208개의 응답은 본 연구에서 사용하기 위해 선택하였음.


연구결과

=>아래의 표 2)를 통해 연구 결과를 알 수 있음: 동기 부여(가설 1과 가설 2)와 관련하여, , 동기부여가 고령자의 여가·생활 만족도에 긍정적인 영향을 주어 가설 1을 뒷받침하였으며 가설을 뒷받침하는 전체 삶의 만족도의 유의미한 예측 변수인 것으로 밝혀짐.

-가설 34의 결과는 여행 제약이 노인의 여가 생활 만족도와 전반적인 삶의 만족도에 영향을 미치지 않아 가설 3과 가설 4에 대한 지지를 제공하지 못했음. 전반적인 삶의 만족도와 관련하여 가설 5가 뒷받침되었으며, 특히 여가생활 만족도는 전반적인 삶의 만족도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침.


*이번 연구의 실무적인 시사점
-잠재적인 관광 상품이나 노인 관광객을 위한 프로그램을 개발하려는 관광 마케터들에게 중요한 의미를 가짐: 분석 결과, 고령 관광객의 동기에 대한 5가지 요소(참신성, 오락성, 휴식, 사회화, 내재적 동기부여)를 발견하였으며, 이를 기반으로 노인 관광객층을 공략할 수 있는 상품의 개발성을 제시하였음.

 

-이번 연구 결과는 관광객 동기와 노인들 사이의 삶의 만족도(QoL)에 대한 기여도 사이의 누락된 연관성을 조사함으로써 기존 문헌에 상당한 이론적 기여를 구성함: 그 결과, 고령자 관광객의 동기가 고령자의 여가·생활 영역의 만족도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쳐, 고령자의 전체적인 생활 만족도가 향상되었음을 알 수 있음.

 

-우리는 나이 든 관광객들의 여행 제약에 대해 조사하였음: '여행에 대한 일반적인 제약'이 노인들의 전반적인 삶의 만족도를 떨어뜨릴 수 있다는 결론은 의미가 있음. 이를 위해 연관된 활동 이론과 함께 여가 활동에 대한 노인들의 관광활동 참여를 유지하는 것이 삶의 만족을 위해 필수적이라는 것을 시사함.
=>따라서, 여행지 홍보전문가와와 여가전문가들이 힘을 하벼 개인, 대인관계 및 상황적 제약을 관리하고 촉진하는 것이 과제로 남아있음을 제시하였음.

 

보조연구원: 곽은태(관광학부 4학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