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연구동향

행복여행 학술자료

Home연구동향행복여행 학술자료

Ivlevs (2017) Happy hosts? International tourist arrivals and residents’ subjective well-being in Eu

한양대관광랩 2022-08-29 조회수 201

 


연구목적

-관광 활동과 거주자의 삶의 질 사이의 관계에 대한 관심이 증가하고 있지만, 실제 관광객의 도착이 거주자의 행복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에 관한 연구결과는 전무한 상황임.
-본 연구에서는 유럽 국적 인구의 주관적 행복(행복과 삶의 만족도)에 대한 국제 관광객 도착의 영향을 연구하며, 연구에 활용된 데이터는 2002-201332개국에서 실시된 유럽 사회 조사(European Social Survey)6가지 방법으로부터 나온 것임.
-본 연구에서는 궁극적으로 관광산업이 주최국의 국민들의 주관적 행복 및 삶의 질과 같은 요소들에 대해 미치는 영향을 이해하기 위해 진행되었음.


연구방법
-본 연구에서는 관광효과와 주관적 웰빙에 대한 인식에 대한 관련 문헌을 검토하였음.
: 대표적으로 2011년에 AndereckNyaupane1,000명 이상의 인원을 대상으로 인터뷰를 진행하였으며 이를 통해 개인의 삶의 특정 측면에 대한 관광의 인식 가치뿐만 아니라 개인의 삶의 이 측면의 중요성과 질과 연관되어 있음을 규명함. 마지막으로는 관광객의 영향과 웰빙의 관계를 설명하는 관광 라이프 사이클의 역할이 중요함을 설명하였음.
: 이밖에 Boissevain(1996)의 문헌에 따르면 관광객 유입이 상대적으로 많을 때 발생하는 관광객과의 너무 많은 만남은 즐거움보다 불만과 적대감을 야기할 수 있음을 지적하였음.

-위와 같은 문헌들을 기반으로 본 연구에서는 총 네 가지의 가설을 설정하였으며, 공식 모델링을 통해 규명하고자 하였음.
관광객의 도착은 거주자의 주관적인 행복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친다.
관광지까지의 도착이 주민의 복지에 미치는 영향은 관광 밀도에 의해 완화되며, 관광 밀도가 높을수록 그 효과는 더 부정적이다.
관광객의 도착은 삶의 만족도와 거주자의 행복에 차이가 있다.
관광 도착이 주민의 복지에 미치는 영향은 응답자의 나이, 교육 및 거주 지역에 따라 완화된다. 그 영향은 각각 젊은 응답자, 교육 수준이 낮은 응답자 및 도시 응답자보다 고령자, 시골 거주자에게 더 부정적이다.


위의 공식에서 국가 j에 거주하는 개인 i의 주관적 행복은 국가 수준 관광객 도착의 함수(연령, 성별, 교육, 소득, 건강 등)로 모델링되며, GDP 성장, 실업률 및 국가 수준 변수도 포함하였음. 계산 모델 내에는 모든 국가(국가 고정 효과)와 연도(연도 고정 효과)에 대한 더미 변수가 포함되며, 국가 고정은 주관적인 웰빙과 관광객 유입 모두에 영향을 미치는 모든 시간 불변 국가별 요인을 설명하고 있으며, 연도 고정에 대한 효과는 분석에 포함된 모든 국가에 공통적인 주관적 웰빙 및 관광객 유입의 시간 추세를 설명함.


연구결과

위의 그래프를 통해 관광강도(Tourism Intensity)의 모든 단계에서 관광객의 도착률이 높아짐에 따라 삶의 만족도는 하락하지만, 관광강도(Tourism Intensity)가 높아질수록 연관성이 강해진다는 것을 보여주고 있음.


위의 표에서는 젊은 층과 고령층 비교와 함께 상대적으로 교육 수준이 낮고 상대적으로 높은 계층, 농촌 및 도시 거주자를 위한 모델 결과를 보고하고 있음. 계층간의 부정적인 연관성은 나이가 많은 응답자, 교육 수준이 낮은 응답자 및 젊은 응답자, 교육 수준이 높은 응답자 및 시골 지역에 거주하는 사람들 사이에서 더 강한 경향이 있으나 교육 표본에서는 차이가 있으므로 집단간의 명확한 상관관계에 대해서는 설명해주지 못하고 있음.


*시사점
-관광객의 도착이 삶의 만족도를 하락시킨다는 연구 결과는 정책적으로도 시사하는 바가 있다는 점을 설명함. 관광객의 도착은 경제성장과 고용을 창출할 가능성이 높은 반면 관광지 주민들의 삶의 만족도를 떨어뜨릴 수도 있다는 점을 경고하고 있음.

-이는 특히 단기간에 대규모 관광객 유입을 촉진하기 위한 정책과 관련이 있음을 암시하는데 이는 곧 관광객의 도착을 일회성으로 크게 증가시키는 방향으로의 추진보다는 점진적으로 증가시키는 정책을 개발하는 것이 필요하다는 것임.

+한계점: 이 연구는 국제 관광객 도착의 영향에 초점을 맞추고 있음. 많은 국가에서 국내 관광객의 흐름은 적어도 국제 관광객의 흐름만큼 큰 상황임. 앞으로 진행될 차후 연구에서는 거주자의 주관적인 행복이 두 가지 유형의 관광에 대해 다르게 반응하는지 여부를 고려할 수 있으며 이를 기반으로 한 연구를 진행해야 함을 설명함.